2024.05.05 (일)

  • 흐림속초15.0℃
  • 비17.8℃
  • 흐림철원18.7℃
  • 흐림동두천17.8℃
  • 흐림파주18.3℃
  • 흐림대관령15.5℃
  • 흐림춘천17.6℃
  • 비백령도13.5℃
  • 비북강릉19.5℃
  • 흐림강릉21.1℃
  • 흐림동해16.0℃
  • 비서울18.9℃
  • 비인천18.3℃
  • 흐림원주19.2℃
  • 비울릉도15.5℃
  • 비수원18.3℃
  • 흐림영월16.9℃
  • 흐림충주18.5℃
  • 흐림서산18.0℃
  • 흐림울진13.1℃
  • 비청주18.8℃
  • 비대전18.2℃
  • 흐림추풍령16.8℃
  • 비안동17.3℃
  • 흐림상주17.6℃
  • 비포항18.3℃
  • 흐림군산19.4℃
  • 비대구17.6℃
  • 비전주19.5℃
  • 비울산16.6℃
  • 비창원17.4℃
  • 비광주19.7℃
  • 비부산16.8℃
  • 흐림통영17.4℃
  • 비목포18.8℃
  • 비여수19.7℃
  • 흐림흑산도16.9℃
  • 흐림완도19.9℃
  • 흐림고창19.1℃
  • 흐림순천18.0℃
  • 비홍성(예)19.5℃
  • 흐림17.7℃
  • 비제주23.2℃
  • 흐림고산18.5℃
  • 흐림성산19.8℃
  • 비서귀포19.9℃
  • 흐림진주18.5℃
  • 흐림강화18.3℃
  • 흐림양평17.9℃
  • 흐림이천18.1℃
  • 흐림인제17.5℃
  • 흐림홍천18.2℃
  • 흐림태백15.5℃
  • 흐림정선군16.6℃
  • 흐림제천16.6℃
  • 흐림보은17.4℃
  • 흐림천안18.3℃
  • 흐림보령18.2℃
  • 흐림부여19.2℃
  • 흐림금산17.9℃
  • 흐림18.2℃
  • 흐림부안20.1℃
  • 흐림임실18.6℃
  • 흐림정읍19.7℃
  • 흐림남원19.9℃
  • 흐림장수17.3℃
  • 흐림고창군19.3℃
  • 흐림영광군19.3℃
  • 흐림김해시16.5℃
  • 흐림순창군18.8℃
  • 흐림북창원17.9℃
  • 흐림양산시18.2℃
  • 흐림보성군19.9℃
  • 흐림강진군20.4℃
  • 흐림장흥20.4℃
  • 흐림해남19.4℃
  • 흐림고흥20.5℃
  • 흐림의령군18.1℃
  • 흐림함양군17.9℃
  • 흐림광양시18.2℃
  • 흐림진도군18.9℃
  • 흐림봉화16.3℃
  • 흐림영주16.4℃
  • 흐림문경16.6℃
  • 흐림청송군16.7℃
  • 흐림영덕16.6℃
  • 흐림의성18.4℃
  • 흐림구미18.2℃
  • 흐림영천17.2℃
  • 흐림경주시17.0℃
  • 흐림거창16.9℃
  • 흐림합천17.9℃
  • 흐림밀양17.7℃
  • 흐림산청17.3℃
  • 흐림거제18.3℃
  • 흐림남해18.3℃
  • 흐림18.1℃
〈스토리 경북인〉 한국 ‘시조창’의 달인 서상록 가객!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스토리 경북인〉 한국 ‘시조창’의 달인 서상록 가객!

서상록가객.jpg
시조창의 달인 서상록 가객

 

【기획특집】이기만 기자=한민족의 한(恨)은 어디서 왔을까. 질곡의 역사를 거치면서 고된 삶을 풀어주는 삶의 애환이 있다면 심연에서 우러나오는 깊은 흥얼거림이 아니었을까.

 

시대를 거슬러 ‘시조창’으로 잊혀진 역사를 발굴해내는 이가 있다. 시조창의 달인 서상록(53)가객이 그 주인공. 한반도에서 해가 가장 먼저 뜨는 동해안, 경북 포항에서 살아온 삶의 질곡이 그를 옛 시간으로 되돌렸을까.

 

이제는 고전에서나 볼 시조창을 운명처럼 받아들여 전국대회 대상을 휩쓴 것은 물론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표창까지 받을 정도로 유명세를 타고 있다.

 

서가객이 시조창과 인연을 맺은 것은 지난 2009년. 평소 동양철학에 관심이 많아 주역공부를 하기 위해 경주 상현서당을 찾은 게 그의 운명을 바꾼 계기가 됐다. 서당을 운영하는 한학자 일암 김주호 선생으로부터 시조창의 길을 안내받은 것이다.

 

“그 당시만 해도 시조는 알았지만 시조에 운율을 붙여 창을 부르는 것은 잘 몰랐습니다. 그런데 하면할수록 뭔가 끌리듯 빠져들어 지금까지 오게 되었어요.”

공연모습.jpg
서가객의 시조창 공연 모습

 

서가객은 창을 접한 지 이듬해인 2010년 포항에서 열린 ‘전국시조경창대회’에 첫 출전했으며, 6년째인 지난 2015년 마침내 경주에서 개최된 ‘신라문화제 시조경창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하는 기염을 토했다.

  

급기야 지난해 4월 시조창의 본고장인 전라남도에서 열린 (사)남도정가진흥회 주최 ‘전국시조경창대회’에서 국회의장상을 수상했으며, 10월에는 경산에서 열린 ‘전국 정가 경창대회’에서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을 받는 수준에까지 이르게 됐다고 한다.

  

“저도 어안이 벙벙합니다. 평소 철학관을 운영하다보니 혼자 있는 시간이 많아 매일 꾸준히 연습했을 뿐인데 전국단위 대회에서 대상을 받고 장관상까지 수상하니 실감이 나지 않더라구요.”

 

서가객에 따르면 시조창의 기원은 신라 향가로 보는 학자들이 많지만 문헌상으로는 조선 영조때 가객 이세춘이 시조에 곡을 붙여 불렀다는 기록이 당시 학자였던 신광수의 자서전 ‘석북집’에 기록돼 있다고 한다.

 

“시조창은 쉽게 말해 음절의 규칙이라 말할 수 있는 ‘율려’가 정확해야 합니다. 조선시대 선비들이 즐겨 부른 노래이기 때문에 부드럽게 물 흐르듯이 불러야 하죠. 심사위원들이 저에게 대상을 준 것은 ‘절제되고 깔끔한 소리’에 그 특징이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요즘 유행하는 노래가 랩과 팝 등 빠른 비트와 박자로 표현된다면 ‘시조창’은 답답할 만큼 느림 그 자체이다. 느림의 미학이 있다면 시조창의 장점이라고 서가객은 말한다.

  

“창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단전에 힘을 줘야하기 때문에 호흡훈련에 큰 도움이 됩니다. 당연히 심폐기능이 좋아지는 것은 물론 정서안정에도 도움이 돼 우울증을 치료한 분도 계십니다. 스트레스에 찌든 현대인들에게 마음수양과 느림을 통해 심신을 치료하는데 ‘딱’입니다”

수상모습.jpg
전국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한 모습

 

현재 포항에서 동양철학관을 운영하며 대한시조협회 포항지부에서 활동하고 있는 그는 전국 지역별 시조창을 통합한 ‘석암 정경태 선생’을 가장 존경한다고 말했다.

 

“시조창도 지역 사투리처럼 지방별로 리듬이 다른데 서울경기지역은 담백함이 살아있는 ‘경째’, 충청도는 물이 흐르듯한 리듬의 ‘내포째’, 전라도는 리듬이 화려한 ‘완째’, 경상도는 장중한 힘이 있는 ‘영째’로 분류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모든 지역별 시조창 리듬을 하나로 통합한 것이 석암 정경태 선생의 ‘석암째’라고 한다. 서가객이 부르는 시조창이 바로 석암째인 것이다.

 

“민요가 서민들의 노래였다면 시조는 양반들의 노래라고 볼 수 있어요. 잃어버린 우리 것을 찾아 후대들에게 전수해 주는 것이 저의 사명이라고 생각하고 더욱 열심히 할 생각입니다.”

 

시조창을 통해 ‘한민족의 얼’을 되살려 내고, 자칫 잃어버릴 뻔 했던 가객의 맥을 잇는 다는 점에서 서가객의 발자취는 ‘인간문화재’이자 미래역사의 길이 되고 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